반응형

안녕하세요, 공대놀이터 입니다.
회사에서 ESD 전압 테스트를 검증하기 위해 파이(Pi)형 감쇠기를 납땜한 적이 있었습니다. 이유는 ESD 테스트에 사용하는 전압은 1.5kV로 고전압이기 때문에 Oscilloscope에 1.5kV를 바로 입력하면 장비가 고장 날 우려가 있으므로, 입력단에 파이형 감쇠기를 달아주어 전압을 낮추기 위함입니다.
파이형 감쇠기의 용도는 레벨 조정 이외에도 안정성 개선 및 매칭 개선을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. 이때, 안정성 또는 매칭을 개선하면 다른 하나도 함께 어느 정도 개선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 안정성 개선 및 매칭 개선 용도로 파이형 감쇠기가 사용되는 용도로는 발진회로의 출력단, 믹서의 LO 입력단이나 IF 출력단, 증폭기 출력단 등이 있습니다.


파이형 감쇠기의 회로 구성은 위 사진과 같습니다.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는 적절한 R1,R2,Zo 값을 찾아서 원하는 감쇠값을 찾으면 됩니다.


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저는 회사에서 전압 레벨 조절 용도로 파이형 감쇠기를 구현했기 때문에 40dB 감쇠기(1/100V)를 구현하였습니다.


Oscilloscope를 활용하여 구현한 파이형 감쇠기가 40dB 감쇠를 시키는지 확인해 보았고 결과는 정상적이었습니다.
여기까지 파이(Pi)형 감쇠기(Attenuator) 정의 및 용도에 대해 포스팅 하였습니다.
'전공지식 > RF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커패시터 노이즈 제거 원리 : 바이패스 커패시터(Bypass Capacitor), 디커플링 커패시터(Decoupling Capacitor) (2) | 2021.04.12 |
---|---|
ACP, ACPR, ACLR이란? (6) | 2020.01.19 |
S파라미터(S-Parameter) 쉽게 이해하기 (6) | 2020.01.05 |
IP3, P1dB란? (6) | 2019.12.25 |
Intermodulation(상호변조)란 무엇인가? (7) | 2019.12.22 |
댓글
누들누들이님의
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!
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,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.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.
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, 결제할 수 있습니다.
글 본문,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,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.
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,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