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공대놀이터 입니다.
벌써 2022 지방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저는 지방선거를 지금까지 2번 했었는데, 국회의원 선거와 대선과는 달리 지방선거는 광역단체장부터 교육감까지 다양한 선거투표를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관계로 사전투표를 할 때 혼란스러웠던 기억이 납니다.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여러분들에게 2022 지방선거 사전투표 관련 정보를 요약해 드리고자 합니다.
1. 2022 지방선거 사전투표 및 본투표 일정
일반 | 지방선거 본투표 | 지방선거 사전투표 |
일시 | 6. 1(수) 06:00-18:00, 12시간 | 5. 27(금) ~ 5. 28(토) 06:00-18:00, 매일 12시간 |
장소 | 주소지 관할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 | 전국 사전투표소 어디서나 투표 가능 |
비고 |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또는 "내 투표소 찾기" 검색을 통해 본투표 장소 확인 가능 |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등에서 사전투표 장소 확인 가능 |
코로나19 확진자 | 지방선거 본투표 | 지방선거 사전투표 |
일시 | 18:30-19:30 | 5. 28(토) 18:30-20:00 |
2. 2022 지방선거 선거 종류
2022 지방선거는 총 7개의 선거가 동시에 실시되며, 7장의 투표용지가 교부됩니다. 예외적으로 세종시는 4개, 제주도는 5개의 선거가 치뤄집니다.
- 광역단체장(시,도지사) 선거
- 교육감선거
- 기초단체장(구청장,시장,군수) 선거
- 지역구광역의원선거
- 지역구기초의원선거
- 비례대표광역의원선거
- 비례대표기초의원선거
2022 지방선거는 7곳의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함께 치뤄지게 됩니다: 대구 수성구을, 인천 계양구을, 경기 성남시분당구갑, 강원 원주시갑, 충남 보령시서천군, 경남 창원시의창구, 제주 제주시을.
3. 2022 지방선거 사전투표 본투표 절차
2022 지방선거 사전투표와 본투표에서 투표 절차가 다릅니다. 사전투표의 경우 관내, 관외선거인으로 나뉘고 7장의 투표용지를 한 번에 받아서 투표합니다. 반면, 본투표의 경우에는 1차로 교육감, 시도지사, 구청장시장군수 투표용지 3장을 받아서 투표합니다. 이때 국회의원 보궐선거 지역은 투표용지를 한 장 더 받게 됩니다. 1차 투표가 끝나면 2차 투표로 시도의원, 구시군의원, 비례대표시도의원, 비례대표구시군의원 투표용지 4장을 받아서 투표하게 됩니다.
2번에서 잠깐 살펴본 것처럼 예외적으로 세종시는 1차에서 한번에 투표를 끝내게 되고 제주는 5장을 두 번에 나누어서 투표를 진행하게 됩니다.
4. 지역구기초의원선거에서 후보자기호에 "가", "나" 표시가 있는 이유
지역구기초의원선거는 중선거구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, 정당은 선거구별 선출 인원(2~4명) 내에서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3명을 선출하는 선거구에서는 기호 1번 정당의 추천 후보자가 1-가, 1-나, 1-다 까지 추천할 수 있게 됩니다.
여기서 주의해야할 부분은 유권자는 반드시 한 명의 후보자에게만 투표해야 한다는 점입니다. 저도 이 부분이 항상 투표할 때마다 헷갈렸습니다.
5. 지방선거 후보자 정책 및 공약 확인방법
정책공약 | 대상 | 비고 |
정당 10대 정책 | 선거에 참여하는 중앙당 | http://policy.nec.go.kr "정책.공약마당" 사이트에서 지방선거 후보자별 정책공약 확인 가능 |
5대공약 | 시도지사 및 교육감, 구청장시장군수 후보자 | |
선거공약서 | ||
선거공보 | 선거구내 모든 후보자 |
여기까지 2022 지방선거 사전투표 관련 정보 요약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
'정보공유 > 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페이코 포인트 카드 발급받고 연말정산 대비하기(초대 코드: DS3XLG) (0) | 2022.11.07 |
---|---|
OTT 공유 사이트 벗츠 BUTS 추천인 ndu227 이용 후기 (0) | 2022.08.09 |
2022년 장마기간과 장마 시작일 전망 공유 (1) | 2022.05.18 |
알뜰폰 모빙 해지방법 알아보기 (0) | 2022.04.05 |
카베진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자(위장질환에 좋은 약) (0) | 2022.03.28 |
댓글